본문 바로가기
생활, 경제

체지방률 계산 (BMI · 인바디)

by supersaver1 2025. 10. 12.

체중이 같다고 모두 같은 몸일까요? 절대 그렇지 않습니다. 몸의 구성 성분이 얼마나 건강한지를 보여주는 지표가 바로 체지방률입니다. 체중은 단순한 숫자일 뿐이며, 근육량과 체지방률을 함께 분석해야 자신의 체형을 정확히 알 수 있습니다.

 

특히 BMI와 인바디를 통해 종합적으로 확인하는 것이 중요한데요, 이 글에서는 체지방률의 개념부터 계산 방법, BMI와 인바디의 정확한 해석법, 체지방률을 줄이기 위한 방법까지 상세하게 안내합니다.

 

다이어트를 계획하거나 건강관리에 관심 있는 분이라면 꼭 읽어보세요.

목차

    체지방률 계산 (BMI · 인바디)

    체지방률이란? 단순한 체중보다 더 중요한 수치

    체지방률은 전체 체중 중 지방이 차지하는 비율입니다. 예를 들어 체중이 70kg인데 체지방이 20%라면, 그중 14kg이 지방이라는 뜻입니다. 우리가 다이어트를 하면서 목표로 하는 것은 단순히 체중을 줄이는 것이 아니라 체지방을 줄이고 근육량을 유지하거나 늘리는 것입니다.

     

    근육량이 많은 사람은 체중이 많이 나가도 체형이 슬림해 보일 수 있으며, 반대로 지방이 많은 사람은 체중이 낮아도 복부비만이 있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체중만으로는 절대 자신의 건강 상태를 정확히 알 수 없습니다.

     

    ✅ 체지방률 기준표 (성인 남녀)

    구분 남성 여성
    아주 낮음 (운동선수 수준) 6~13% 14~20%
    건강 체형 14~17% 21~24%
    보통 체형 18~24% 25~31%
    과체중/비만 25% 이상 32% 이상

    ※ 여성은 남성보다 생리적 지방률이 높기 때문에 기준이 다릅니다.

    BMI(체질량지수)와 체지방률의 차이점

    BMI(Body Mass Index)는 키와 몸무게로 계산되는 간단한 비만 지표입니다. 계산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BMI = 체중(kg) ÷ (신장(m) × 신장(m))

    예를 들어 키 170cm, 몸무게 70kg인 경우:

    → BMI = 70 ÷ (1.7×1.7) = 24.2

     

    ✅ BMI 기준표 (WHO 동양인 권장 기준)

    • 18.5 미만: 저체중
    • 18.5~22.9: 정상
    • 23~24.9: 과체중
    • 25 이상: 비만

    하지만 BMI는 지방과 근육을 구분하지 않기 때문에 단점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근육량이 많은 운동선수는 BMI가 높게 나오더라도 실제로는 지방이 적고 건강한 체형일 수 있습니다.

     

    반대로 마른 체형의 사람도 지방이 많고 근육이 적다면 '마른 비만'일 수 있습니다. 그래서 BMI는 참고 수치일 뿐, 체지방률이나 인바디 분석과 함께 해석해야 정확합니다.

    인바디란? 체성분을 정확히 분석하는 방법

    인바디(InBody)는 체성분 분석기로, 전기 저항을 이용해 체중, 근육량, 체지방량, 체지방률, 내장지방, 기초대사량 등 다양한 정보를 측정합니다. 체중은 같아도 근육이 많으면 더 건강한 몸이며, 인바디는 그 차이를 정확히 보여줍니다.

    인바디 측정 항목

    • 체중
    • 골격근량(근육량)
    • 체지방량 및 체지방률
    • 기초대사량
    • 내장지방 레벨
    • 체수분량
    • 부위별 근육 발달 상태

    정확한 인바디 측정을 위한 팁:

    • 공복 상태(식사 2시간 전후 금지)
    • 운동 전 또는 운동 후 최소 3시간 이후 측정
    • 같은 시간대에 주기적으로 측정
    • 카페인, 알코올 섭취 후 측정 금지

    체지방률 계산 방법 (공식 활용)

    체성분 분석기가 없다면, 미국 해군 공식(Navy Method)을 활용해 대략적인 체지방률을 추정할 수 있습니다. 단위는 cm이며, log는 상용로그(log10)입니다.

    ① 남성 공식

    체지방률 = 86.010 × log(복부둘레 − 목둘레) − 70.041 × log(신장) + 36.76

    ② 여성 공식

    체지방률 = 163.205 × log(허리 + 엉덩이 − 목둘레) − 97.684 × log(신장) − 78.387

    정확한 계산이 어렵다면 아래 웹사이트를 참고하세요:

    체지방률 줄이기 위한 실천 전략

    체지방률을 낮추기 위해서는 단순한 식사 조절이나 운동만으로는 부족합니다. 여러 요소를 종합적으로 개선해야 합니다.

    1. 유산소 + 근력운동 병행
      주 4~5회, 30분 이상 유산소 운동(걷기, 러닝, 자전거 등)과 전신 근력운동(스쿼트, 런지, 푸쉬업 등)을 함께 실시해야 합니다.
    2. 식단 조절
      탄수화물은 줄이고 단백질과 채소는 늘립니다. 하루 단백질 섭취량은 체중 1kg당 1.2~1.5g이 적당합니다.
    3. 물 섭취
      충분한 수분 섭취는 대사를 촉진하고 포만감을 유지시켜줍니다. 하루 1.5~2리터가 권장됩니다.
    4. 수면과 스트레스 관리
      수면 부족은 지방 축적 호르몬 분비를 유도합니다. 하루 7시간 이상 숙면이 중요합니다.
    5. 주기적인 인바디 체크
      1~2주 간격으로 체성분 변화를 측정하면 진행 상황을 명확히 파악할 수 있습니다.

    결론

    체지방률은 단순한 체중보다 훨씬 더 정확하게 내 몸의 건강 상태를 반영해주는 지표입니다. BMI와 인바디를 함께 활용하면 내 몸을 더 객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으며, 효율적인 다이어트 및 체형 관리를 할 수 있습니다.

     

    진짜 변화는 체중이 아닌 체성분의 변화에서 시작됩니다. 오늘부터 체중계 숫자에 일희일비하지 말고, 내 몸속 성분을 이해하는 건강한 습관을 시작해보세요.

    반응형